개인강습으로 스케이트를 시작. 은 했으나 기초 하프서클의 서클이 안 그려지는 상태.

강습비가 싸지 않은데 진도를 못 나가니 애가 탔다.

 

마침 오가는 루트 가까운 곳에 사이즈는 작지만 겨울 한정으로 여는 작은 링크가 있었다.

요금은 비싼 편이었지만 접근성이 좋고 어차피 공간 많이 쓸 연습 하는 것도 아니라 시간 나는 대로 틈틈이 그곳에서 연습을 하게 되었다.

12월말~1월 무렵이었을 텐데 실외 링크라 껴입어도 많이 춥고 스케이트 부츠는 여전히 발이 아프고 연습을 해도해도 엣지가 뭔지 감은 못 잡겠고 죽을 것 같았는데, 웃기게도 재미는 있어서 그만두지 못하는 상태가 이어진다. (지금도 그렇지만) 금방 되는 건 하나도 없어도 신기하게도 많이 하다보면 어떻게든 조금씩은 되어가기는 하더라.

 

오로지 하프서클 포워드아웃 그려지는 데에 들인 시간이 얼마만큼인지 들으면, 아마 스케이트 배워본 사람이라면 누가 됐건 눈을 띠용 할 것이다. 스케이트 걸음마 뗀 사람이면 수업 한 시간 들어도 클리어할 과제인데...orz

 

그러다가 좀 먼저 타기 시작하신 지인이 생기고, 그분 주말 단체 강습 시작한 얘기와 그분 다니시는 곳은 성인반에 대기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단체반에 등록을 하게 되었다. 이번해 2월의 일이다.

당시 그 반의 선생님이 기초부터 정확히 잡고 가는 데에 중점을 두시는 분이라 내 수준에 굉장히 도움이 되었다. 개인강습이 진도 아주 쪼끔 빠른 정도였던지라 선행학습/보강학습 느낌이었다.

이쪽 빙상장의 특징도 있었을 것이다. 하키 시합이 자주 열려 관객을 많이 맞는 곳이라 조명도 분위기도 밝은 편이라 처음에 낯선 느낌이 비교적 적었다. 그래서 주말에는 오전 시간에 가서 강습 전까지 연습 하다가 강습 두 시간, 총 세 시간 내지 네 시간을 타게 되었다.

기본 활주랑 하프서클 연습밖에 할 줄 아는 것도 없었는데도 참 열심히 탔다 싶다.

열심히 탔더니 발도 점점 더 아프더라. 아픈 건 느릿느릿 풀리는데 그나마도 다 풀리기 전에 가서 또 타니 그럴 수밖에 없었다.

 

주말에 가서 타면 사람이 많았다. 시작한 게 애들 방학 때이기도 해서 링크는 아주 붐볐다.

지인은 먼저 백크로스 진도 나가서 연습할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것을 한탄하고 있었다.

 

그래서 저질렀다.

.....지인과 지인의 지인까지 세 명이서 대관을!!!! 목동 아이스링크를!!!!!!! 두 시간!!!!!!!!!!!!!

 

지금 생각해도 제정신은 아니었던 거 같다(...)

특히 나는 기본 활주+하프서클(잘 안 됨)+앞으로 크로스+두발 스핀(책 보고 야메)밖에, 할 줄 아는 게, 도 아니지. 연습할 줄 아는 게 없었는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금이나마 그 두 시간을 의미 있게 만들고 싶어서 나도 가기 직전 개인강습 때, 급히 백크로스 하는 방법을 배웠다. 다행히 아예 못 나갈 정도는 아니었나보다.

 

그렇게 해서 찾아간 텅 빈 아이스링크.

그 큰 데를 빌려봤자 할 수 있는 게 없긴 한데, 싶긴 했지만 고깔도 안 세워진 링크는 정말이지 광대했다.

아주 열심히 하프서클이며 크로스, 백크로스를 연습하긴 했다. 했지만, 한편으로는 두 시간 내내 무력감이 들고, 이 두 시간을 정말 필요한 사람이 있을 텐데 내가 쓰고 있는 게 너무 큰 잘못처럼 느껴졌다.

(물론 억지로 차지한 건 아니다. 예약 자체가 해놨어도 훈련하는 애들 대관 있으면 밀리더라)

그 뒤로는 쓸데없는 생각 안 하고 그냥 수업시간에 시키는 것만 열심히 했다(...)

 

이 무렵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하나는 단체 강습을 받던 빙상장이 대규모 공사로 인해 긴 기간 휴장한다는 것이었고 하나는 아프던 발이 더 심하게 아파지기 시작했다는 것이었다.

앞선 문제는 다른 가까운 빙상장 성인 강습을 찾아 등록에 성공하며 해결되었지만 후자가 좀 심각했다.

 

매일 조금이라도 나아질까 싶어 족욕을 했는데 어느날엔가 깨닫고 보니 좌우 발 안쪽 복숭아뼈 아래 부주상골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부딪치고 있었다. 그 무렵을 경계로 통증도 업그레이드 됐던 것 같다. 스케이트 신으면 예전엔 5분 10분 통증 참으면 적응이 됐던게 이 때는 30분은 눈물 날 것 같이 아팠다가 통증도 잊혀질 정도로 발이 마비되어야 비로소 좀 제대로 탈 수 있었다. 스케이트를 벗고나면 부주상골은 평소보다도 더, 피부를 찢을 것처럼 아프게 튀어나와 있는 것 같이 보였다.

스케이트 타는 건 즐거웠지만 그 앞에 기다리는 통증을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했다.

병원도 무던히 다녔고 통증 치료도 받았지만 효과는 잠깐뿐이었다. 병원에서는 한 번에 20만원은 드는 충격파 치료를 일주일에 2~3번 몇 달 꾸준히 받아보자고 했다.

시발 돈이 얼마야.

 

원래도 잘 타게 되면 검은색 스웨이드 상위 부츠로 장비 업글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긴 했는데(검은색 스웨이드 부츠가 로망), 어디까지나 만에하나 계속 탈 경우 몇 년 뒤 예정이었다. 이때는 발 통증이 너무 심해서 내가 스케이트를 계속 탈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 보이지 않았던지라 장비에 돈을 투자할 생각이 들지 않았던 것이다.

근데 강습 먼저 들었던 지인이 그 무렵 부츠를 바꿨는데 완전 충격이라며 날 앉혀놓고 시험삼아 신어보라고 하셨다. 스케이트는 뭔가 굉장히 프라이빗한 장비란 느낌이라 남의 부츠 신는 게 실례는 아닐지 싶어 조심조심 신었는데....Amazing!!!! 안이 폭신하고 발도 딱 잡아줘서 꼭 운동화를 신은 것 같았다. 선수들도 많이 신는 에디아의 아이스플라이 모델이었다.

내가 충격파 치료를 받을 바에야 그 돈으로 수준에 안 맞는 부츠라고 손가락질 당하거나 욕을 쳐먹어도 그냥 부츠를 바꿔봐야겠다는 쪽으로 생각이 기운 순간이었다.

 

(이어짐)

'게임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케이트 기록 4  (2) 2017.11.19
스케이트 기록 3 : 발 통증 극복편下  (0) 2017.11.15
스케이트 기록 1  (0) 2017.09.02
[BOOK] ~2016년 3월 (총1권)  (0) 2016.04.01
[BOOK] ~2016년 2월 (총1권)  (0) 2016.03.01
Posted by 2ndHz
,

주인공 여성이 임신을 계기로 환상세계를 통해 어렸을 적 가족과의 트라우마 극복하려고 하는 내용이라고 해서 심도 있는 내용이기를 바라며+동작 모션이 발레 동작이라고 해서 관심이 있었던지라 제작사 예전 작품도 안 알아보고 발매 당일 구입했더니 쿠소게만 줄줄이 낸 회사라더라....?

그래도 나만 재밌으면 됐지 싶어서 시작했는데...화면은 참 예쁜데 진행이 매우....매우 단조로웠다.

스테이지 하나 끝내고나니 뭔가 지쳐서, 차후 VR 모드 추가된다고 했으니 기다렸다 해야지 하고 놓았다.

 

그리고 내리 쉬었다.

플러스 프리플레이로 풀리도록.

^ㅁㅠ

 

원래 한국 계정이었나 미국 계정에서 샀었는데, 로딩해도 너무 오래되어서 뭘 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었던지라 일본에도 프리 풀렸길래 그걸로 다시 다운 받아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했다.

매우 짧은 게임이었다. 이게 뭐라고 하다가 놨었나 싶을 정도로.

스테이지는 여러개인데 의미가 있나 싶을 정도로 그냥 다 비슷비슷했다.

VR모드 멀미 나고 가야할 루트가 잘 안 보이고 해서 금방 벗어던졌다.

그냥 외길이라 쭉 달렸다. 트로피 난이도가 헬이라 애초에 버리고 가기 좋더라.

그리고 그날 중 클리어.

 

...내 취향에 부합하는 부분도 있어서(아트+모션) 쿠소게라고까지는 안 하겠지만...

"심도 있는 내용이기를 바라며".........심도 있는 내용........................심도...................................................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가 전체적으로 모든 감각이 무딘 편이라 자극적인 B급 음식 좋아하듯이 유치해도 기복 큰 이야기 좋아하기 때문도 있을 테지만......그래도 그렇지 이야기 너무 별로 생각 안 하고 만든 거 아니냐.

주인공의 갈등 해결 방식도 마음에 안들고 얼마 안 되는 대사 중 빡치는 부분도 있고...게임 짧은 것 치고는 참 여러 감정이 오가긴 한 것 같은데;;;;;;

안 했으면 계속 해보고 싶었을 것 같으니 해서 다행이지만 마음이 참 복잡하다.

 

끝내고나니 얼른 딴겜 하고 싶어져서 새 게임들 켰다.

이스8이랑 드퀘11. 언제 클리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

'게임'17'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VR] 페이트/그랜드오더VR  (0) 2017.12.30
[PS4] 드래곤퀘스트11 지나간 시간을 찾아서  (0) 2017.12.02
[PS4] 파이널판타지15  (0) 2017.06.23
[PSV] 경계의 백설  (0) 2017.05.27
[PSV] 넷하이  (0) 2017.04.13
Posted by 2ndHz
,

스케이트 기록 1

게임 외 2017. 9. 2. 19:57

시간이 없어서 게임을 못 했더니 블로그 업뎃을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뭔가를 써갈기고 싶다....그래서 아무 수요도 없는 요즘 들인 새 취미 글을 써본다.

 

 

작년말, 주위의 추천으로 유리온아이스라는 애니메이션을 봤다.

원래 코난 극장판 보고 나와서 코난 TV판 보려고 했는데 합법적으로 볼 수 있는 루트를 못 찾음.

크런치롤에 있다고 해서 깔아서 들어갔는데 외국IP로만 되는지 안 뜨길래 시무룩하고 있는데(우회까지는 근성이 없음) 역시 추천받고 스루하던 유온아가 있어서 별 생각 없이 틀어봤다.

그랬더니...오 생각보다 시합 퀄이 좋고 실제 시합처럼 선수들 실수할까봐 조마조마하지 않아서 재밌더라.

(이거 무서워서 김연아 선수 현역이라 피겨 유행할 때도 시합을 못 봤다. 이게 남의 실수에 과하게 공감하는 무슨 증상이라던데...덕분에 온국민이 점프 판정 능력 갖출 때 혼자 피겨 가장 멀리 있던 1인...)

 

여하튼 보고서 '아, 스케이트라는 운동이 있었지' 하는 생각이 새삼스레 들어서 롯데월드 아이스링크에 친구와 스케이트를 타러 갔다.

 

 

중학생 때 학교에서 두 번인가 타러 가본 게 다였던지라 처음엔 펜스 잡고, 그 다음에는 펜스 놓고 느릿느릿 넘어져가며 도는데 묘한 재미가 있더라. 그러다 가운데 강습 공간을 보는데 응? 성인도 배우고 있네?

 

..........이게 애들 말고 성인도 배워도 되는 거였어?

 

피겨라는 건 어렸을 때부터 두각을 드러낸 재능 있는 몇몇 애들만 배우는 거라고 생각했지 성인이 취미로 한다는 건 생각도 못 해봤던지라 되게 신기했다.

그 뒤로 몇 번 더 타러 놀러다니며 정보를 좀 찾아보니 성인 대상 강습도 있고 취미로 타는 분들 생각보다 많아 보였다. 일단 난 아이스링크라는 건 잠실이랑 목동에만 있는 줄 알았는데 전국에 여러 곳이 있다는 데에 놀랐는데, 그 정도로 피겨 사정에 어두웠다.

 

일단 난 링크 한 바퀴가 안 돌아지는 상태였으므로...당시 다니던 롯데에서 1일강습을 신청해보았고, 다행히 시간 비는 피겨 선생님이 계셔서 한 시간동안 나를 봐주셨다.

근데 뭐 몸 쓰는 걸 해봤어야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강습원 안에 들어갔는데 가장 기초로 시킨 항아리 그리기가 안 돼서ㅠㅠ 점점 레벨을 낮춰 직선으로 가는 거 겨우 좀 하다가 강습원 밖에 나가서 기본 활주+피겨를 배우게 되면 처음에 어떤 걸 하게 되는지(크로스오버, 뒤로 항아리 같은 거)...선생님이 보여주시는 대로 보다가 끝났다.

 

어이가 없었다ㅋㅋㅋㅋㅋㅋ앉아서 일하는 직군에 학생 시절에도 운동을 즐기지 않아서 몸치인 건 알았지만 이 정도로 아무 것도 못 따라할 줄이야...선생님이 일일로 봐준 사람 중에서도 역대급이 아니었을까orz

오기가 생겨서 그 다음부터는 그 날 선생님이 알려주신 걸 하나씩 해보려고 했다. 앞으로 항아리 그리기도 오래 걸렸고 뒤로 가는 게 너무 무서워서&무게중심을 제대로 못 옮겨서 뒤로 항아리는 더 오래 걸렸다(여기까지 남들은 하루만에도 되는 부분). 불쌍해 보였는지 뒤로 가는 거 조언 주러 조심스레 다가오신 잘 타는 성인분도 계셨고 뒤로 항아리는 수줍음 많은 듯한 꼬마가 말은 안 걸면서도 옆에서 해서 보여주고 그랬다.

 

딱 그 시기에 스케이트를 샀다. 대여화라서 안 되는 거라고 핑계대지 않으려고.

첫 스케이트는 Risport사의 보급화인 Jupiter였다. 이유는 굽의 별모양이 간지나서.

 

 

처음 신는 딱딱한 스케이트화는 발이 참 아팠다. 끈도 어느 정도 꽉꽉 묶어줘야 하고.

하지만 의욕만은 넘쳤기에 열심히 연습했고, 뒤로 항아리+밀기 감이 좀 잡히자 개인강습을 신청했다.

 

 

여기까지가 11월 중반~12월까지의 일.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은 뭔가 또 쓰고 싶어지면.

 

 

 

 

+++사족.

1.난 가까운 링크 단체반 대기가 많고 다른 곳은 너무 멀고 정보도 없었고 해서 개인강습을 선택했지만 정말 기초 단계에서는 단체나 차이 없을 것 같다. 기초가 몸에 배기 전까지 다른 거 못 배우는 건 개인강습도 똑같으니까...

2.스케이트화는 평소 신발 신을 때 조금이라도 불편을 겪은 적이 있다면 발 모양 맞춰서 프레스 해주는 곳에서 사는 게 좋다. 난 안 되는 곳에서 샀다가 드라이어기 히팅으로 응급조치하면서 신었지만 정말 불편했다.

Posted by 2ndHz
,